여행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년1월14일 태국 푸켓 가족여행] 빠통비치 2020년 코로나가 유행하기전인 1월달에 푸켓을 다녀왔습니다 숙소는 인디고빠통에서 숙박을 하고 바로근처인 빠통비치에 아침에 시간이 나서 작은아이와 구경을 했습니다 푸켓 타운의 서해안에 위치한 빠통 비치는 푸켓의 대표적인 해변이자 가장 번화한 곳입니다. 부드러운 모래와 투명한 바다, 잔잔한 파도로 인기가 많은 해변인 빠통 비치에서 선베드에 누워 예쁜 바다를 감상하거나,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며 쌓여있던 스트레스를 맘껏 날려보세요. 주변에는 신선하고 다양한 해산물 요리를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도 많답니다. 또한, 해변가를 따라 호텔, 리조트, 쇼핑몰, 레스토랑 등 다양한 시설들이 있어 여행하기 편한 곳이기도 해요. 이곳은 길거리 음식점과 작은 노점들로 가득한 야시장, 휘황찬란한 네온사인의 방라 로드, 레스토랑.. 더보기 [충남 공주여행]국립 공주박물관 ▲ 국립공주박물관은 대전·충남지역에서 출토된 국보 19점, 보물 3점 등 문화재 16,000여 점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보관·관리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주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공주지역 사람들이 백제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 만든 공주고적보존회를 모태로 시작하여, 1940년 공주사적현창회(公州史蹟顯彰會)에서 조선시대 관아건물인 선화당(宣化堂)을 이용하여 박물관 사업을 시작하였고, 해방이후 194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公州分館)을 거쳐, 1975년 국립공주박물관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공주사적현창회시기부터 박물관으로 이용된 선화당은 1972년 현대식건물이 세워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이후 국립공주박물관은 전시와 각종 문화 행사를 실시하며 지역민의 문화교육기관으로의 역할을 수행했으나 최근 급격히 증가한 발굴문화재.. 더보기 [충남 부여여행]궁남지 서동공원(사적 제135호) 궁남지는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17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이다. 별궁 인공 연못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연못의 동쪽 일대에는 대리석을 팔각형으로 짜 올린 어정, 기와편, 초석이 남아 있다.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궁남로 52 문의처 : 부여군 문화재과 041-830-2953 지정현황 : 사적 제135호(1964.06.10 지정) 궁남지는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한 무왕의 서동요 전설이 깃든 곳이다. 『삼국사기』에 “백제 무왕 35년(634) 궁의 남쪽에 못을 파 20여리 밖에서 물을 끌어다가 채우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못 가운데는 섬을 만들었는데 방장선산(方丈仙山)을 상징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로 보아 이 연못은 백제 무왕 때 만.. 더보기 [충남 부여여행]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동남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이다. 백제 말기, 즉 사비백제 시대의 충청 동남권, 특히 부여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주로 전시하고 있다 관람안내 평일 : 오전 10시 ~ 오후 6시 토요일, 공휴일 : 오전 10시 ~ 오후 7시 야간개장 : 매주 토요일(4월 ~ 10월, 오전 10시 ~ 오후 9시) 입장료 : 무료. 기획전시는 제외(라지만 유료인 경우가 거의 없다). 휴관일: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국립부여박물관의 전시실은 총 4개의 상설전시실과 야외전시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000여 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제1전시실 : 청동기 시대부터 사비 백제 이전의 충남 지역의 유물을 전시해 놓았다. 한반도.. 더보기 [충남 부여]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백제시대의 대표적 석탑으로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소재하고 있다. 화강암으로 이루어졌고 높이는 8.33m이다. 정림사는 사비의 시내 한가운데 있던 중요한 절이었다. 1963년 12월 20일 국보 제9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 림사지(定林寺址) 5층 석탑은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현존하는 두 개의 백제 석탑 중 하나이다. 중국 당(唐) 나라 장군인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평정한 사실을 기리기 위해 탑신(塔身) 4면에 기공문(紀功文)을 새겨 놓아 '평제탑'(平濟塔)으로 불리기도 했다. 정림사지 5층 석탑의 미술사적 의의는 이 석탑이 미륵사지 석탑과 더불어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탑이라는 점이다. 또한 목조탑의 구조를 지녔지만 돌로 표현된 탑.. 더보기 [충남 부여여행]부소산성, 낙화암, 고란사 부소산성 충남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31 (쌍북리) 사적 제 5호 ▲ 부소산성(낙화암, 고란사 포함)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으로 사비시대의 도성(都城)이다.『삼국사기』「백제본기」에는 사비성, 소부리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성이 위치한 산의 이름을 따서 부소산성이라 부른다. 웅진(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수도를 옮기던 시기인 백제 성왕 16년(538)에 왕궁을 수호하기 위하여 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성왕 22년(500)경에 이미 산 정상을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이 있던 것을 무왕 6년(605)경에 지금의 모습으로 완성한 것으로 짐작되어 백제 성곽 발달사를 보여주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금강의 남안에 있는 부소산의 산정을 중심으로 테뫼식 산성이 동서로 나뉘어 붙어 .. 더보기 [전남 담양여행]배롱나무꽃이 아름다운 담양 명옥헌원림[명승 제58호] 소쇄원과 함께 담양에서도 가장 빼어난 정원 중 하나로 담양에 가시면 반드시 들려보아야할 곳 중 한곳입니다 명옥헌원임의 나무백일홍인 배롱나무가 한참필때에는 출사하러 오시는 분들이 가득차기도 합니다 8월부터 9월에 가장 아름다운 곳을 물어본다면 아마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 분홍꽃이 만말한 명옥헌원림이 아닐까 합니다 개인적으로 가족과 함께 2번 별도로 2번을 방문하는등 4번정도 방문한 명승지이기도 합니다 명옥헌이 있는 곳은 담양군 후산마을입니다 마을입구에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고 주차장에서 명옥헌까지 걸어서 약 10여분 정도가 걸립니다. 마을입구에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지정번호지정일: 명승 제58호 지정일: 2009년 09월 18일 담양 명옥헌원림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에 있는 조선시대 오희도.. 더보기 [전남 해남여행] 해남 땅끝 해양자연사박물관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길 89 홈페이지: http://tmnhm.co.kr/ 관람시간 09:00 ~ 18:00 *마감시간 1시간 전까지 입장 가능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 평일) 어린이(3세~12세) 청소년(13세~18세) 성인(19세~) 3,000원 4,000원 5,000원 *해남사랑 상품권 사용가능합니다. 1989년 광주중외공원에서 수산전시관을 시작으로 2002년 땅끝(송지면 통호리)에 해양자연사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지금까지 수집하고 제작한 5만여 점의 전시품을 세상에 펼쳐 보였다. 지금은 2019년부터 새로이 땅끝마을(송지면 송호리)로 신축 이전하여 새로운 '땅끝시대'로 박물관을 새롭게 변모시키고 있다. 박물관은 시간과 지역적인 특.. 더보기 [전남 해남여행]일몰이 아름다운 해남 달마산 미황사 해남을 여행의 끝으로만 알고 달려온 여행객은 땅끝 십 리 못미쳐 동쪽에 자리 잡은 달마산(489m)을 그냥 지나치곤 한다. 달마산은 한반도의 산줄기가 바다로 떨어지기 직전, 마지막으로 솟아오른 봉우리다. 달마는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에서 왔다. ‘진리’라는 뜻이다. 달마산 아래 아름다운 고찰, 미황사(美黃寺)가 자리한다. 미황사 전경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미황사길 164 연락처: 061-533-3521 홈페이지: http://www.mihwangsa.com/ ▲ 미황사는 통일신라시대 때 창건되었던 사찰이며 불교의 해로유일설을 뒷받침하는 창건설화가 전해내려온다. 부도전의 부도조각이 특이하다. 미황사는 우리나라 불교 해로유입설을 뒷받침하는 고찰로서 옛날에는 크고 작은 가람이 20여동이나 .. 더보기 [전남 해남여행]땅끝전망대와 땅끝탑 땅끝전망대는 유명한 땅끝마을을 지나 있습니다 땅끝 전망대 가는 방법은 모노레일(운행 총 소요시간은 6분)과 도보로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해남 땅끝전망대에 오를때는 모노레일 이용하시고 내려오실때는 걸어서 내려오는 것도 좋습니다 갈두산(156m) 정상에 위치한 땅끝전망대는 지난 2002년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났다. 1987년부터 이곳 갈두산 사자봉에서 터줏대감 노릇을 하던 소박한 모습의 전망대가 횃불 모양을 형상화한 세련된 건축물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높이도 지상 3층에서 지상 9층으로 훌쩍 높아져, 목을 한껏 젖힌 뒤에야 그 모습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061-530-5544 전남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길 60-28 땅끝모노레일매표소승강장 지번송호리 산45 땅끝모노레일매표소승강장 매일 09:00 -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