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관광지 - 원주 제4경,치악산 비로봉] 원주여행, 원주볼거리, 원주관광지,가족여행,주말여행,1박2일여행,당일여행지
태백산맥의 줄기 치악산 태백산맥의 오대산에서 남서쪽으로 갈라진 차령산맥의 줄기인 원주의 명산 치악산 주봉인 비로봉(1,228m)을 중심으로 남으로 향로봉(1,043m), 북으로 매화산(1,084m), 삼봉(1,073m) 등의 1000m가 넘는 고봉들이 남북으로 웅장한 산군을 형성하고 있다. 남북으로 뻗은 능선들은 사이사이 깊은 계곡을 이루며 서쪽으로 급경사를 이루며 동쪽으로 완경사를 이룬다. 큰골ㆍ영원골ㆍ입석골ㆍ범골ㆍ사다리골ㆍ상원골ㆍ신막골ㆍ산성골 등 기암괴석과 층암절벽의 아름다운 골짜기가 있으며, 비로봉ㆍ남대봉ㆍ매화산ㆍ안봉ㆍ천지봉ㆍ투구봉ㆍ토끼봉ㆍ향로봉 등의 산봉과 입석대ㆍ세존대ㆍ신선대ㆍ아들바위ㆍ구룡폭포ㆍ세렴폭포ㆍ영원폭포 등의 명소가 산재하여 있다. 치악산에는 한때 76개에 달하는 크고 작은 사찰들이 있었..
더보기
[2013년3월23일- 제천 점말동굴(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 ,신라 화랑유적지,코뿔소뼈 유적)]-제천여행,충청도여행,가족여행,교과서여행,주말여행,당일여행,1박2일여행,제천볼거리,제천관광
위치: 충북 제천시 송학면 포전리 산 68-1 문의/안내: 제천시청 문화관광과(문화영상팀) 043-641-5133 지정현황: 충북기념물 제116호 (2001년 02월 02일 지정 점말동굴은 1973~1980년까지 모두 7차례에 걸쳐 연세대 박물관이 발굴한 구석기시대 동굴유적으로 현재 충북도 기념물 제116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남한지역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이다. 조선계 석회암지대에 발달된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으로 용두산 동남향 사면 중간쯤의 병풍바위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동굴을 중심으로 근처에 6개의 가지굴이 발달되어 있다. 1973~1980년까지 8차에 걸쳐 연세대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기, 중기, 후기 구석기문화의 뚜렷한 3개의 문화층이 발달되어 있다. 구석기시..
더보기
[2013년 5월 18일 경상북도 안동여행 세계유산 유네스코등재 하회마을- 가족여행, 주말여행,1박2일여행,안동볼거리,안동여행,안동관광,하회마을 전래놀이,버스시간,하회마을 버스]
안동 하회마을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교문화가 살아 숨쉬고 있는 상징공간으로 손꼽히는 곳으로써 가장 한국적이며 독창적인 문화를 간직한 씨족마을입니다. 또 하회마을은 자연에 순응하며 서로 교감하고자 한 우리 민족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상호이해와 소통을 통해 흐트러짐 없는 건전한 공동체적 삶을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2010년 7월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개최된 제34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마을주민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는 다양한 생활 문화가 이제는 한국을 넘어 세계인들이 지키고 이어가야 할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하며 하회마을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확정지었습니다 유네스코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실사를 통해 “하회마을은 주택과 서원, 정자와 정사 등 전통 건축물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고, ..
더보기
[2013년 5월 18일 경상북도 안동여행 안동민속박물관- 가족여행, 주말여행,1박2일여행,안동볼거리,안동여행,안동관광]
1978년 11월 국무총리 최규하가 안동댐을 순회하면서 민속경관지(民俗景觀地) 내에 민속박물관 건립을 건의하면서 추진되기 시작하였고, 1992년 6월 26일 개관하였다. 설립 목적은 안동문화권의 민속문화를 조사·연구·보존·전시함으로써 국민의 사회교육의 장과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하며 올바른 지방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안동지역의 역사와 관혼상제(冠婚喪祭)나 전통놀이 등 생활풍습에 관한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부지 17만 1630㎡ 규모이며, 안동의 유교문화를 연출·전시하는 옥내박물관과 안동댐 수몰지역의 고가옥, 문화재 등을 전시하는 야외박물관으로 나누어진다. 옥내박물관이 자리잡은 본관은 연면적 3,100㎡에 지하 1층, 지상 2층 건물이고 전시면적은 약 1,500㎡이며, 시청각실·영상실·휴게시설도..
더보기
[2005년 3월26일 남원 광한루 가족여행]전라도여행,남원관광, 남원볼거리,이도령과 성춘향,오작교,춘향관,월매집,완월정,방장정,1박2일여행,2박3일여행
홈페이지: http://www.gwanghallu.or.kr/ 세종(1419년)때 황희정승이 건립해 광통루라 했다. 그 후 1444년 관찰사 정인지가 광한루라 이름 붙였고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638년에 재건하였다. 광한루원은 사적 제 30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담긴 오작교를 비롯하여, 춘향사당, 춘향관, 월매집, 완월정 등의 여러 정자와 누각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서는 각종 전통의식과 혼례식이 열리고 있으며, 매년 5월5일에 춘향제가 개최된다 완월정은 1971년에 신축된 수중누각으로 1963년 채기묵 남원군수의 재임(1962년 4월 5일~1963년 5월 31일) 당시부터 연차계획을 세워 경내를 확장하고 주변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증설된 건물이다. 1969년 기존 호수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