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이야기

영주 부석사 단풍 여행

 

 

 

 

신라 문무왕 16년(서기 676년)에 의상조사가 창건한 화엄종찰 부석사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비롯해 국보5점, 보물6점, 도 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중 하나입니다. 사찰 앞으로 펼쳐진 자연경관을 품안에 끌어안은 모습은 마치 부처님의 온화한 자비심처럼 모든 이의 마음을 무아의 경지에 이르게 합니다.

유래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해동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으뜸 사찰입니다.

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을 펴기 위해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절은 신라 화엄종의 도량(道場)임에도 불구하고 본전인 무량수전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주불(主佛)로 모셨고, 무량수전 앞에 안양문(安養門)을 세웠으니 『安養』은 곧 『極樂』을 일컬음이니 이 절은 바로 땅 위에 극락세계를 옮겨 놓은 격이 되는 것입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무량수전(無量壽殿)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고 합니다. 1916년 해체 보수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3년(1377) 조사당(祖師堂)이 재건되었다고 적혀 있습니다.

경내에는 신라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石燈)(국보 제17호),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 제220호), 삼층석탑(三層石塔)(보물 제249호), 당간지주(幢竿支柱)(보물 제255호)등이 있고, 고려시대 유물인 무량수전(無量壽殿)(국보 제18호), 조사당(祖師堂)(국보 제19호), 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국보 제45호), 조사당벽화(祖師堂壁畵)(국보 제46호), 고려각판(高麗刻板)(보물 제735호), 원융국사비(圓融國師碑)(도유형문화재 제127호), 삼층석탑(三層石塔)(도유형문화재 제130호) 등이 있습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전시관(遺物館展示館)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 부석사 당간지주
    • 보물 제255호
    • 통일신라시대
    • 높이 428cm, 너비 55cm, 56cm, 지주 간격 100cm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17
    • 지정일자 : 1963.1.21
  • 부석사 경내로 올라가는 최하층의 좌측 노변에 위치해 있는데 양 지주가 1m간격으로 동서로 상대해 있다. 전면에는 별다른 조식이 없고 다만 양쪽 모서리로 모를 약간 죽였다.

    전후 양 측면으로는 20cm폭으로 두 줄의 음각선대를 테두리에서 5.4cm 간격을 두고 넣었다.

    지주 정상부의 바깥쪽 모서리는 호선을 2단으로 깎아내었고 안쪽에는 간구를 내었는데 장방형이다. 양지주 사이에는 간주를 받는 대석이 남아있는데 사각형의 하대 위에 원형으로 테를 만들고 안으로 지름 30cm의 원공을 두어 당간이 끼워지도록 하였다. 원형의 테 밖으로는 몰딩과 연꽃무늬를 새겼다.

    간결, 단아해 보이게 비교적 가늘고 긴 편이면서도 아래와 위의 두께에 다소 차이가 있어 안정감을 지녔다. 조성년대는 부석사가 창건된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된다.

     

     

     

     

     

     

     

     

     

  • 부석사 삼층석탑
    • 보물 제249호
    • 통일신라시대
    • 높이 526cm, 기단 폭 356cm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149)
    • 지정일자 : 1963.1.21
  • 무량수전의 동편 약간 높은 지대에 있다. 2중기단에 3층의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지대석과 하층기단의 하대를 한데 붙여 8석으로 짜고 중대석 각면에는 우주와 탱주가 있어 3구로 구분하였으며 갑석은 6매석이다.

    상층기단은 4매석으로 갑석을 짜고 각면에 우주 1주를 모각하였다.

    탑신과 옥개는 각층마다 1석으로 구성되었는데 옥신 표면에는 우주가 있을 뿐 아무 장식도 없다. 받침은 각층 모두 5단씩으로 되어 있고, 처마 아래는 직선이나 전각에 반전이 있으며 그 좌우에 방울을 달았던 구멍이 남아 있다. 옥개석 위로는 괴임을 두어 옥신석을 받쳤다. 상륜부는 노반과 복발만이 남아 있다. 노반은 1단의 갑석이 있고 복발은 편구형으로 횡대가 있고 그 위에 사방에 꽃모양이 양각되었다. 1960년대 해체 수리시 3층탑신 중앙에 얕은 사리공이 확인되었으나 사리장치는 없었고, 기단부에서 철제탑, 불상조각, 구슬 등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 부석사 무량수전
    • 국보 제18호
    • 고려시대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 지정일자 : 1962. 12. 20
  • 부석사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본전으로 신라 형식으로 보이는 석기단 위에 초석을 다듬어 놓고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배치하였다.

    기둥은 배흘림이 많은 두리기둥을 세웠고, 지붕 네 모서리에 활주를 받쳤다. 공포는 헛첨차 없는 주심포양식으로 내외2출목이며, 가구는 전·후퇴 9량집의 팔작지붕이다. 전면은 정(井)자 살창으로 되어 있고, 후면은 중앙칸에 신방을 두어 쌍여닫이 판장문에 그 양쪽에는 붙박이 살창을 달고 내부에 판문을 덧댔다. 상부가구수법은 횡단면으로 보아 외진의 평주와 내진의 고주 사이에 퇴량이 걸려 있다.

    고주와 고주 사이에는 대량과 그 위에 종량이 걸쳐 솟을 합장과 대공이 그 위에서 종마루를 받치고 있다.

    내부 바닥은 전돌을 깔고 남향하는 건물의 서편에 불단을 만들었다. 그 위에 장육의 아미타여래상을 동향하여 안치하였으며 그 상부엔 보개를 두었다. 1916년에 있었던 해체 보수때에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공민왕 7년(1358) 왜화를 당한 것을 고려 우왕 2년(1376)에 중수하였다 하였으나 가구방식이나 세부수법에 장식적인 요소가 적은 점과 주두, 소루 등이 내반된 곡을 가지고 굽받침이 남아 있는점 등 전체적인 건축양식으로 보아 고려 중기건물로 추정하고 있다.

     

     

     

     

     

     

     

     

    안양루는 무량수전 앞마당 끝에 놓인 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무량수전과 함께 이 영역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건물에는 위쪽과 아래쪽에 달린 편액이 서로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에 걸린 편액은 '안양문'이라 되어 있고 위층 마당 쪽에는 '안양루'라고 씌어 있다. 하나의 건물에 누각과 문이라는 2중의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안양'은 극락이므로 안양문은 극락 세계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
    따라서 극락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지나면 바로 극락인 무량수전이 위치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다

    안양루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엎드려 모여 있는 경내 여러 건물들의 지붕과 멀리 펼쳐진 소백의 연봉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아스라이 보이는 소백산맥의 산과 들이 마치 정원이라도 되듯 외부 공간은 확장되어 다가온다. 부석사 전체에서 가장 뛰어난 경관이다. 그래서 예부터 많은 문인들이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소백의 장관을 시문으로 남겼고 그 현판들이 누각 내부에 걸려 있다.

     

     

     

     

     

     

     

     

     

    •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220호
      • 시대: 통일신라시대
      •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141)
      • 지정일자 : 1963. 1.21

    무량수전 옆 석간수에 목을 축이고 오르막을 올라 조사당을 옆으로 두고 오솔길을 따라가면 스님의 목탁소리가 맑게 들리어 온다. 이곳이 자인당이다.

    이 불상은 본디 부석사 동쪽 옛절터에 있던 것을 자인당으로 옮겨온 것이다. 두손은 없어지고, 얼굴과 대좌, 광배를 모두 갖춘 형태이다.

    이 두 불상은 세부조각만 약간 다를뿐, 전체적인 모습과 조각양식이 동일하여 같은 조각가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단아하고 인간적인 모습을 띄고 있으며, 부분적인 묘사에서 딱딱하고 경직된 느낌을 준다. 또, 가슴쪽으로 올라간 두팔로 보아 지권인의 비로자나불상으로 추정된다.

    비로자나불은 9세기 후반에 유행하던 불상양식으로 경직된 신체, 형식적으로 묘사된 옷주름, 다양한 무늬로 화려하게 장식된 광배와 대좌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특징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 부석사 조사당
    • 국보 제19호
    • 고려시대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151)
    • 지정일자 : 1962. 12. 20
  • 부석사 조사당은 무량수전 뒷산에 있는 건물로 이 절을 지은 의상조사의 진영을 안치하고 있다. 건물의 건립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 신종 4년(1201)에 단청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건립된 것이 확실하다.

    그 후 고려 공민왕때의 병화로 소실된 것을 우왕 3년(1377)에 원응국사가 재건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조선 성종 21년(1572)에 경연한 기록이 있어 이 건물의 변천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건물은 낮은 장대석 기단위에 있는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으로 헛첨자가 있는 주심포계의 건물이다. 창호는 전면 중앙에 출입문이 있고 그 좌우에 광창이 있다.

    지붕은 전면이 겹처마이고 후면은 홑처마이며, 맞배지붕에 골기와를 이었다. 건물 내부의 입구 좌우에 보살상, 사천왕상 등 고려말에 그려진 벽화가 있었는데 1918년에 벽을 떼어서 보장각내 유리장에 보존하고 있다